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24

히브리서 11장의 믿음의 인물 설교

히브리서 11장의 믿음의 인물히브리서 11장은 믿음으로 살아간 인물들을 통해 성도들이 믿음의 여정을 걸어가도록 권면하는 내용입니다. 히브리서 전체의 교리적 측면에서는 중심이 아니지만, 믿음으로 살아가는 증인들의 삶을 그대로 대변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장입니다.  각 인물을 중심으로 설교를 하기 위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1. 아벨: 참된 예배의 본질 (히브리서 11:4)주제: 믿음으로 드리는 예배가 하나님께 기쁨이 된다.아벨은 믿음으로 더 나은 제물을 하나님께 드렸고, 그 예배가 하나님께 받아들여졌습니다(창세기 4:4).예배는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믿음과 순종의 표현이어야 함을 강조합니다.적용: 우리가 드리는 예배가 믿음과 순종으로 드려지고 있는지 점검합니다.본문 요점: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 성경인물 2025. 1. 30.

창세기 5장의 족보를 통해 주목해야 할 주제

창세기 5장의 족보를 통해 주목해야 할 주제1. 하나님의 창조 계획과 인류의 연속성창세기 5장은 아담에서 노아에 이르는 계보를 통해 인류가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목적을 충실히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창조 때 인간을 자신의 형상으로 창조하시고 그들에게 번성하고 땅을 다스릴 권세를 주셨습니다(창 1:28). 족보는 이러한 하나님의 명령이 한 세대를 넘어 다음 세대까지 전달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세대 간의 연속성족보는 단순한 역사적 기록이 아닙니다. 아담으로부터 시작해 노아로 이어지는 계보는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 역사의 연속성을 보여줍니다.이 족보는 특히 아담이 창조주의 형상을 가지고 있었음을 강조하며(창 5:1), 그 형상이 어떻게 후손들에게 전달되는지를 나타냅니다.그러나 아담 이후.. 성경토픽 2025. 1. 29.

구약의 주요 절기 요약

구약의 주요 절기 요약유월절 (Passover)날짜: 니산월 14일 (레위기 23:5)유월절은 히브리어로 "페사흐"라 불리며, "넘어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이집트에서의 열 번째 재앙 때, 어린 양의 피를 문설주에 바른 집을 하나님께서 넘어가신 사건을 기념합니다. 유월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의 종살이에서 해방된 날을 기억하며, 하나님의 구속 사역을 되새기는 절기입니다. 유월절 의식에는 흠 없는 어린 양의 희생, 누룩 없는 무교병, 쓴 나물을 먹는 전통이 포함되며,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예표합니다.무교절 (Feast of Unleavened Bread)날짜: 니산월 15일~21일 (레위기 23:6-8)유월절 다음 날부터 시작되는 무교절은 7일간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을 먹으며, 이스라.. 성경토픽 2025. 1. 29.

민수기 19장 강해 설교

민수기 19장 강해 설교민수기 19장은 정결 의식에 사용되는 붉은 암송아지의 제물 규례와 이를 통해 부정함에서 정결함으로 나아가는 방법을 다룹니다. 붉은 암송아지를 희생시켜 재를 남기고, 그 재를 물과 섞어 정결 물로 만듭니다. 죽음으로 인해 부정하게 된 자는 이 물로 자신을 씻어야만 정결해질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부정한 상태에서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을 열어주시며, 정결과 거룩함에 대한 하나님의 기준을 강조하십니다. 율법의 수동적이기는 하지만 자신들의 죄를 정결할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은 측면이라할 수 있습니다.  민수기 19장 구조 분석붉은 암송아지 희생 규례 (1-10절)죽음으로 인한 부정함과 정결법 (11-16절)정결 물 사용 규정 (17-22절) 붉은 암송아지 희생 규례 (민 .. 모세오경 강해 2025. 1. 29.

민수기 18장 강해 설교, 레위인의 직무와 책임

민수기 18장 강해 설교민수기 18장은 제사장과 레위인의 직무와 책임, 그리고 그들의 생계를 위한 규정을 다룹니다. 하나님은 아론과 그의 자손에게 성소와 제단의 제사장 직무를 맡기시며, 레위인을 그들의 돕는 자로 세우십니다. 또한 제사장들이 받을 몫으로 거룩한 헌물과 첫 열매, 그리고 십일조를 규정하셨습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은 제사장과 레위인이 온전히 성막 사역에 헌신하도록 하셨습니다. 그러나 제사장은 성소의 거룩한 의무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제사장의 직무는 백성 전체를 위한 대리적 책임임을 강조합니다. 민수기 18장 구조제사장의 직무와 책임 (1-7절)레위인의 직무와 보상 (8-20절)레위인의 십일조 규정 (21-24절)제사장의 십일조 사용 규정 (25-32절) 제사장의 직무와 책임 (민 .. 모세오경 강해 2025. 1. 29.

민수기 17장 강해 설교

민수기 17장 강해 설교민수기 17장은 하나님께서 아론의 제사장직을 확증하시기 위해 열두 지파의 지팡이를 모아 증거궤 앞에 두고, 하나님이 택하신 사람의 지팡이에 싹이 나게 하신 사건을 다룹니다. 다음 날 레위 지파 아론의 지팡이에서 싹이 나고 꽃이 피며 열매를 맺음으로, 하나님이 아론과 그의 자손을 제사장으로 세우셨음을 확인하셨습니다. 이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의 원망과 반역을 잠재우고, 하나님의 권위를 드러내셨습니다. 민수기 17장 구조하나님께서 지팡이를 통한 권위 확인 명령 (민 17:1-5)각 지파 지도자들의 지팡이 제출 (민 17:6-7)아론의 지팡이에 나타난 표적 (민 17:8-9)지팡이를 증거로 보존하라는 명령 (민 17:10-11)백성의 두려움과 반응 (민 17:12-13) 1. 하나님께서 .. 모세오경 강해 2025. 1. 28.

민수기 16장 강해 설교: 하나님의 권위와 중보자의 사역

민수기 16장 강해 설교: 하나님의 권위와 중보자의 사역민수기 16장은 고라, 다단, 아비람이 모세와 아론의 권위에 도전하여 일어난 반역 사건을 다룹니다. 이들은 250명의 족장들과 함께 모세와 아론을 비난하며, 자신들도 거룩하다 주장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반역에 진노하셨고, 고라와 추종자들은 땅이 갈라져 생매장되거나 불에 타 죽는 심판을 받았습니다. 이후 백성들이 모세와 아론을 원망하자, 하나님은 전염병을 보내시지만, 아론이 향로를 들고 중보하여 백성을 구합니다. 민수기 16장 구조고라와 족장들의 반역 (1-3절)모세와 아론의 기도와 하나님의 응답 (4-11절)반역자들에 대한 경고와 분리 (12-21절)고라와 추종자들의 심판 (22-35절)백성의 원망과 전염병 (36-45절)아론의 중보로 백성 .. 모세오경 강해 2025. 1. 28.

민수기 15장 강해 설교

민수기 15장 강해민수기 15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지켜야 할 제사 규례와 우발적인 죄에 대한 속죄 규례를 다룹니다. 하나님께 드릴 곡식과 포도주의 소제, 전제 규정을 비롯해 거주민이든 외국인이든 동일한 법을 적용받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또한 고의적인 죄와 우발적인 죄를 구분하며, 고의적인 죄는 하나님의 말씀을 경멸하는 행위로 간주되어 심판받아야 한다고 명시합니다. 마지막으로 안식일을 범한 자의 처벌 사례와 옷단의 술을 통해 하나님의 계명을 기억하라는 명령으로 마무리됩니다. 민수기 15장 구조가나안 정착 후 제사 규례 (1-16절)떡과 전제의 헌물 규례 (17-21절)우발적인 죄에 대한 속죄 규례 (22-29절)고의적인 죄와 그 심판 (30-31절)안식일 범죄 사례 (32-36절)옷단.. 모세오경 강해 2025. 1. 28.

매일성경 2025년 3월 본문

매일성경 2025년 3월 3월 묵상 읽기표3월 1일 눅 8:1 - 8:153월 2일 눅 8:16 - 8:253월 3일 눅 8:26 - 8:393월 4일 눅8:40 - 8:563월 5일 눅 9:1 - 9:173월 6일 눅 9:18 - 9:273월 7일 눅 9:28 - 9:363월 8일 눅 9:37 - 9:503월 9일 눅 9:51 - 9:623월 10일 눅 10:1 - 10:243월 11일 눅 10:25 - 10:423월 12일 눅 11:1 - 11:133월 13일 눅 11:14 - 11:263월 14일 눅 11:27 - 11:363월 15일 눅 11:37 - 11:543월 16일 눅 12:1 - 12:123월 17일 눅 12:13 - 12:343월 18일 눅 12:35 - 12:483월 19일 눅 12:.. 성경토픽/매일성경묵상 2025. 1. 27.

누가복음 7:36-50 바리새인 시몬과 죄인 여성의 헌신

죄를 용서하시는 예수님의 사랑과 은혜누가복음 7:36-50은 한 바리새인의 집에서 벌어진 예수님과 죄인 여인의 만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바리새인 시몬은 예수님을 자신의 집에 초대했지만, 그를 진정으로 환대하지 않았습니다. 반면, 죄인 여인은 값비싼 향유를 가지고 와서 예수님의 발에 입 맞추며 눈물로 닦아 그의 사랑과 헌신을 보여줍니다. 예수님은 이를 통해 죄의 용서와 사랑의 관계를 설명하시며, 여인의 믿음을 칭찬하고 구원을 선언하십니다. 이 사건은 예수님이 모든 죄인을 용서하시며, 그 사랑이 우리의 삶을 변화시킨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바리새인의 집에서의 사건 (7:36-38)한 바리새인 시몬이 예수님을 자신의 집으로 초대합니다. 이는 당시 문화적 관습으로, 유명한 라비나 선생이 방문했을 때 대화.. 성경토픽/매일성경묵상 2025. 1. 27.

누가복음 7:18-35 세례요한의 질문

오실 그이가 바로 예수님이심을 밝히시는 말씀누가복음 7:18-35는 세례 요한이 제자들을 통해 예수님께 질문을 보내고, 예수님이 그 질문에 답하시며 자신의 사역을 설명하는 장면입니다. 세례 요한은 감옥에서 예수님의 사역에 대한 소식을 듣고, 예수님이 진정한 메시아인지 확인하려 합니다. 예수님은 자신의 사역을 통해 메시아임을 밝히시고, 요한의 사역을 높이 평가하십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예수님과 요한을 각각 다른 이유로 거부하며 회개를 거부합니다. 이 본문은 예수님의 사역과 요한의 사역을 통해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보여줍니다. 세례 요한의 질문과 예수님의 답변 (7:18-23)세례 요한은 감옥에 갇힌 상태에서 예수님의 사역에 대한 소식을 듣고 자신의 제자들을 보내어 “오실 그이가 당신이오.. 성경토픽/매일성경묵상 2025.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