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세기 38장 설교, 유다와 다말의 사건

케리그마 2024. 10. 28.
반응형

설교 제목: 연약함 속에서도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구속 역사

본문: 창세기 38장

창세기 38장은 요셉 이야기의 흐름 속에서 갑작스럽게 삽입된 유다와 다말의 사건을 다룹니다. 이 본문은 인간의 죄와 부끄러움 속에서도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장입니다. 겉보기에는 도덕적으로 혼란스러운 사건처럼 보이지만, 이 이야기를 통해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실패를 통해서도 구속의 역사를 진행해 가심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유다의 죄와 타락 (38:1-11)

유다는 자신의 집을 떠나 가나안 사람들과 교제하며 그들 사이에 정착합니다(1절). 그는 가나안 여인과 결혼해 아들을 낳고, 큰아들 엘에게 다말을 아내로 줍니다(6절). 그러나 엘은 악을 행해 하나님께서 그를 죽이셨고(7절), 둘째 아들 오난도 다말에게 자손을 남기지 않으려는 죄로 죽음을 맞이합니다(10절).

 

유다의 행동은 하나님과의 언약 공동체로부터 멀어진 삶을 보여줍니다. 가나안 여인과의 결혼과 불신앙적 선택은 그의 집안에 혼란과 죄를 초래합니다. 또한 유다는 다말에게 셋째 아들 셀라를 주지 않음으로써 법적 책임을 회피합니다.

이 장면에서 우리는 하나님을 떠난 선택의 결과가 얼마나 파괴적인지를 배웁니다. 유다는 가족과 언약의 공동체를 떠나 세상과 타협하며, 책임감 없는 삶을 살아갑니다. 이는 성도가 하나님과 멀어질 때 쉽게 빠질 수 있는 영적 타락의 길을 경고합니다.

 

다말의 지혜로운 행동과 하나님이 준비하신 길 (38:12-23)

유다의 약속을 기다리던 다말은 셀라가 성장했음에도 결혼할 기회를 얻지 못하자, 지혜로운 결단을 내립니다. 그녀는 창녀의 옷을 입고 유다의 길목에 숨어 있다가, 유다와 동침해 그에게서 자손을 얻습니다(14-18절). 유다는 다말을 창녀로 오해하고, 그 사건을 부끄러운 기억으로 묻으려 합니다.

 

다말의 행동은 비도덕적처럼 보이지만, 이 사건을 통해 하나님께서는 유다의 가문을 다시 회복시키고자 하십니다. 인간의 죄와 실패가 분명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이 사건을 통해 유다의 가문에서 메시아의 계보를 이어가십니다. 이는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우리의 연약함과 상관없이 신실하게 이루어짐을 보여줍니다.

 

우리의 삶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해할 수 없는 어려움과 실패 속에서도 하나님은 여전히 하나님의 계획을 이루고 계십니다. 다말의 지혜로운 행동은 하나님께서 궁극적으로 어떻게 악을 선으로 바꾸시는지를 보여주는 예입니다.

 

회개와 회복: 유다의 변화 (38:24-30)

유다는 다말이 임신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녀를 처형하려고 합니다(24절). 그러나 다말이 자신이 임신한 아이의 아버지가 유다임을 밝히자, 유다는 자신의 죄를 깨닫고 회개합니다. 그는 “그가 나보다 옳도다”라고 고백하며 자신의 책임을 인정합니다(26절). 이 회개는 유다의 삶에 중요한 전환점이 됩니다. 이후 유다는 자신의 가정을 책임지며 변화된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우리의 연약함과 실패를 통해서도 일하십니다. 유다는 다말과의 사건을 통해 자신의 죄를 직면하고 회개함으로써 하나님께로 돌아오는 길을 발견합니다. 성도는 실패 속에서도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고, 회개와 순종을 통해 다시 일어설 수 있습니다.

 

이 회복의 과정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구속 역사가 우리의 연약함을 초월한다는 진리를 발견합니다. 유다의 회개와 다말의 행동은 하나님께서 메시아의 계보를 잇는 도구가 되었으며, 결국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계보를 통해 탄생하셨습니다(마태복음 1:3).

 

결론: 인간의 실패 속에서도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신실한 역사

 

창세기 38장은 도덕적 실패와 인간의 연약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구속 역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줍니다. 유다와 다말의 이야기는 우리의 인생에도 큰 교훈을 줍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연약함과 실패 속에서도 신실하게 일하십니다.

 

성도 여러분, 우리는 유다처럼 죄를 범하고 책임을 회피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다말의 지혜와 용기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상황 속에서 구원의 길을 예비하십니다. 더 나아가 유다의 회개는 하나님께서 얼마나 은혜로우신 분이신지를 보여줍니다. 우리는 실수할 수 있지만,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회개를 통해 새롭게 일하실 준비가 되어 계십니다.

 

오늘도 우리의 삶에 있는 연약함과 실패를 하나님께 맡기십시오. 하나님은 모든 상황 속에서 선을 이루시는 분이십니다. 우리의 고백과 회개를 통해 하나님께서는 구원의 역사를 이루실 것입니다.


창세기 전체 강해 목록은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창세기의 각장을 하루 한 편 설교할 수 있도록 주제별로 분류해 정리했습니다. 구조와 설교의 방향은 창세기의 본문을 구조 분석하고 그에 따라 설교하기 편하도록 작성한 것이니 기존의 구조와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